❗ngrok란?

로컬 개발 환경에서 실행 중인 서버를 인터넷에서 접근 가능한 공용 URL로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. 

 

❗ngrok 설치

https://ngrok.com/download

 

Download

$ ngrok config add-authtoken <token>

ngrok.com

사이트에 접속하여 각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. 해당 과정은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실행된다.

 

 

❗ngrok 토큰 발급하기

https://dashboard.ngrok.com/get-started/setup/windows

 

ngrok - Online in One Line

 

dashboard.ngrok.com

사이트에 접속하여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한다.

 

 

로그인된 페이지에서 좌측 메뉴의 'Your Authorization'을 선택하면 해당 계정의 토큰을 알 수 있다.

 

 

❗ngrok 터미널 접속하기

위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 해제한다.

 

해당 폴더 하위에 있는 ngork.exe을 더블클릭한다.

 

해당 터미널에만 ngrok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!

 

 

❗토큰 설정

ngrok config add-authtoken [토큰]

호스팅을 위해선 먼저 토큰을 등록해야 사용할 수 있다.

 

 

❗로컬 서버에 도메인 연결하기

ngrok http [로컬 포트 번호]

5000번 포트로 실행 중인 서비스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해 명령을 수행한다.

 

위의 명령을 실행하면 해당 화면이 나오면서 로컬의 5000번 포트와 연결된 도메인을 알려준다.

 

해당 도메인으로 접속해 보면 제대로 5000번 포트로 접속됨을 알 수 있다.

 

 

❗2개 이상의 포트 한 번에 연결하기

ngrok.yml을 수정하여 1번의 명령으로 한 번에 여러개의 도메인을 할당받을 수 있다.

 

C:\Users\[사용자이름]\.ngrok

해당 경로 아래에 ngrok.yml 파일을 생성한다.

 

version: "2"
authtoken: [토큰]
tunnels:
  [서버 이름1]:
    proto: http
    addr: [서버 포트 번호1]
  [서버 이름2]:
    proto: http
    addr: [서버 포트 번호2]

ngrok 3버전에서는 version에 대한 명시가 꼭 필요하다.

만들고 싶은 개수만큼 tunnels 하위에 작성해 주면 되고, 각 이름은 임의로 지정할 수 있다.

 

ngrok start --config "C:\Users\[사용자이름]\.ngrok\ngrok.yml" --all

설정 파일을 직접 지정하기 위해 경로를 명시해서 실행시킨다.

 

명령이 실행되면 한 번에 2개의 도메인이 할당된 것을 볼 수 있고 마찬가지로 서버에 접속해 보면 제대로 실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728x90
반응형

'🔻DevOps > Network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MQTT] EC2와 윈도우 기반 MQTT 통신 구현  (0) 2024.08.15
[MQTT] MQTT 개념 및 아키텍처  (0) 2024.08.15
_니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