EC2를 생성 후 EC2의 EIP를 사용하여 내 컴퓨터에서 ping 명령어를 사용해 보고자 한다.
❗EC2 생성
https://radiant515.tistory.com/164
[AWS] EC2 인스턴스 만들기
❗AWS 서버 구축 앞으로의 서버 구축은 AWS에서 진행될 예정! https://aws.amazon.com/ko/free/?trk=fa2d6ba3-df80-4d24-a453-bf30ad163af9&sc_channel=ps&s_kwcid=AL!4422!3!563761819834!e!!g!!aws&ef_id=Cj0KCQjw1vSZBhDuARIsAKZlijStgmnIR5Do3Fn10Uu
radiant515.tistory.com
❗탄력적 IP 연결
https://radiant515.tistory.com/165
[AWS]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 할당하기
인스턴스를 중지했다가 다시 시작하면 IP가 바뀌는데 이것을 고정하기 위해 탄력적 IP를 할당함!
radiant515.tistory.com
❗보안 그룹 수정
EC2에 연결했던 보안 그룹으로 들어가서 인바운드 규칙을 수정해야 한다. ICMP를 IPv4, IPv6 2가지로 추가하면 된다!
❗Ping 명령어 수행
처음 인바운드 규칙에 ICMP를 추가하지 않고 ping 명령을 수행했을 땐 요청 만료로 떴지만 추가 후에 다시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패킷을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728x90
반응형
'🔻DevOps > Clou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zure] ACR과 AKS 생성 후 연결하기 (0) | 2025.03.25 |
---|---|
[Azure] 가상 네트워크(VNet)와 가상 네트워크 게이트웨이(Virtual Network Gateway) (0) | 2025.03.03 |
[Azure] 쿠버네티스 이용해서 프로젝트 실행하기 (0) | 2024.07.15 |
[Auzre] Bastion 서버 생성 후 서브넷 접속하기 (0) | 2024.07.12 |
[Cloud] Bastion Server (0) | 2024.07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