🔻DevOps/Cloud
[Azure] 쿠버네티스 이용해서 프로젝트 실행하기
_니지
2024. 7. 15. 13:53
❗쿠버네티스 생성
컨테이너에서 AKS를 선택
개발/테스트 선택 후 이름 입력
노드 크기 선택 및 오토 스케일링 수동 설정
❗AKS CloudShell과 연결하기
생성된 리소스에서 '연결' 클릭
상단바에서 터미널 클릭 후 Bash 선택
cloudshell에서 만든 쿠버네티스를 코드로 조작하기 위해 우측 2개의 코드 입력해서 연결한다.
실행할 서비스를 쿠버네티스 안으로 옮겨오는데 여기선 git clone 방식을 사용했다.
kubectl apply -f pod.yaml
kubectl apply -f service.yaml
kubectl apply -f deploy.yaml
kubectl get pod
kubectl get service
kubectl get deploy
❗로드밸런서와 연결
AKS를 만들면 'MC_ ...'이름으로 해당 쿠버네티스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 설정이 필요한 리소스가 하나의 그룹으로 생성된다. 이중에서 가상 머신을 클릭한다.
부하 분산 규칙에서 '추가' 클릭
프론트엔트 IP와 백엔드 풀을 선택하고, 포트는 IP 접속 시 서비스가 바로 보여지게 하기 위해 80번 포트와 아까 cloudshell에서 실행 중인 쿠버네티스 서비스의 포트를 넣어준다.
상태 프로브도 동일한 포트로 등록한다.
❗IP로 접근하기
브라우저로 접속 시 잘 열리는 것을 볼 수 있다.
728x90
반응형